본문 바로가기
공기업(전공관련)/김윤상객관식경영학(CPA)

김윤상객관식경영학 기출문제 정리19(생산시스템의운영및통제)

by Chris_혀무사 2021. 1. 29.
728x90

 

제6편 생산 및 운영관리

제3장 생산시스템의 운영 및 통제

 

 

 

 

* 지수평활법 - 수요예측치(당기예측) = 전기 예측치 + 평활상수 x (전기실제치-전기예측치)

 

* 누적오차는 양의 값이 증가하면 과소예측, 음의 값이 증가하면 과대예측하고 있음

 

* 총괄생산계획시 고려요소 : "고생하재" - 고용수준, 생산수준, 하청수준, 재고수준

 

* 총괄생산단위:총괄생산계획 수립시에는 기업이 생산하고 있는 제품군(제품별X)의 모든 제품을 총괄할 수 있는 공통의 산출단위로 계산해야함.

 

* MPS 독립수요, MRP 종속수요 (스독, 프종)

 

* 부하할당: 전진부하할당은 납기일을 초과하는 일정계획이 발생할 수 있음, 후진부하할당은 누적된 생산작업의 처리시간이 생산능력을 초과할 수도 있음.

 

* (수요예측)임의변동은 분석의 대상이 아니다. 가법모형의 계절적 변동폭은 일정하다.

 

* (오차측정)평균오차가 0이라는 것은 편의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지 정확하게 예측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.

 

* (오차측정)평균자승오차가 0이면 평균오차가 0이 나오지만 평균오차가 0이라고 해서 평균자승오차가 0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.

 

* (오차측정)평균오차가 10이 나올 경우 우연히 평균자승오차가 100이 나올 수는 있지만 일반적인 값은 아니다.

 

* (총괄생산계획)수요변동이 크면 여유생산능력을 크게 유지하고, 자본집약도가 크면 여유생산능력을 작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
 

* (총괄생산계획)수요를 잠식당할 우려가 있는 생산능력 확장전략은 지연주의 전략이다.

 

* (총괄생산계획)수요변동에 따른 고용인력의 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평준화전략이 유리하다.

 

* 시계열분석은 시간에 따른 수요의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고 인과관계기법은 수요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찾아내는 것이다.

 

* 시계열분석법(양적기법)은 단기예측, 장기예측에는 질적기법이 적용 된다.

 

* 단순지수평활법에서 평활상수가 크면 최근의 변동이 많이 반영되고 평활효과는 작아지게 된다.

 

* 가법적 계절변동분석에서는 평균값이 증가해도 계절변화의 폭은 그대로 유지된다.

 

* 임의변동은 random하게 변동하는 것이므로 변동자체를 인정하고 예측치에 반영하지 않는다.

 

* 평균오차가 0이라는 것은 편의가 없다는 것이지 절대편차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.

 

* 예측방법이 정확해지면 추적지표(TS:tracking signal)값은 0에 수렴한다.

 

* 평균절대편차(MAD)는 오차의 절대값을 합하여 평균을 낸 값이므로 예측오차의 절대적인 크기는 측정가능하지만 예측치의 편향(bias)의 정도를 측정할 수는 없다.

누적오차나 평균오차를 통하여 예측치의 편향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.

 

* 평균오차의 값이 양의 값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예측치가 실제치보다 과소하게 예측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

 

* 지수평활법은 전년 1년 치의 자료만 있으면 예측 가능한 모형이다.

 

* 총괄생산계획은 생산일정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.

 

* 최적 총괄계획을 도출하는 과정은 수요추종전략, 생산수준 평준화전략, 작업시간 조정전략을 각각 적용할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이들을 혼합하여 여러 가지 대안을 적용하여 가장 우수한 것을 선택한다. 회사는 혼합전략을 택할 경우가 많다.

 

* 자재소요계획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자재명세서, 재고기록철, 주생산계획(MPS)이 필요하다.

**수요변동에 따른 고용 인력의 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추종전략이 아니라 평준화 전략을 사용한다. 추종전략은 고용수준을 조정하는 전략으로 인력의 조정이 용이한 경우에 사용한다.

 

* 총괄생산계획은 1년 정도의 중기 생산계획이다.

총괄생산계획에서 평준화전략은 재고수준이 아니라 생산과 고용을 연중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전략이다.

추종전략은 고객주문의 변화에 따라 생산과 고용을 기간별로 조정하고자 하는 전략이다.

 

* 총괄생산계획을 먼저 수립한 후 주생산계획(MPS)을 수립한다.

혼합전략은 수요추종전략이나 평준화전략 등 단일 기준을 사용한 전략에 비하여 총비용이 감소하게 된다.

 

* 자재소요계획(MRP)은 종속수요품의 관리프로그램이며, 자재명세서, 기준생산계획, 재고현황철이 자재소요계획의 주요 입력자료이다. 최종제품을 언제, 얼마만큼 생산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은 기준생산계획(MPS)이다.

 

* 일반적으로 생산계획은 총괄생산계획 - 기준생산계획(MPS) - 자재소요계획(MRP) - 작업일정계획(job scheduling)의 순으로 수립한다.

 

* 작업일정계획은 작업장에 생산할 품목과 생산량을 할당하고 생산순서를 결정하여 생산비용을 최소화하고 납기를 준수하기 위한 계획이다.

 

* 총괄생산계획(APP)을 통해 제품군 등을 기준으로 월별 혹은 분기별 생산량과 재고수준을 결정한 후, 주일정계획(MPS)을 통해 제품별 생산계획을 수립한다. 월별 혹은 분기별 인력운영 및 하청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총괄생산계획의 일부이다.

 

* 가장 짧은 시간이 선작업이면 가장 먼저 작업을 하는 것이고 후작업이면 가장 늦게 작업을 하는 방법을 존슨법이라 한다.

 

* 재고소진 기간 모형은 재고의 생산순서가 재고현황에 따라 바뀌어지는 동태적 모형이다.

 

* 최소여유시간이란 납기일까지 남아있는 여유시간을 의미하고, 긴급률은 납기일까지 남은 기간을 작업처리일수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.

728x90
반응형

댓글